본문 바로가기
그 외 투자 이야기

치솟는 금 값과 2025 금 시세 전망, 투자 방법(금 ETF, KRX 금통장, 은행 골드뱅크 등)

by 투자자 티케 2025. 2. 20.
반응형

안전자산으로 선호되던 금 값은 경제위기의 경우에도 상대적 가격을 지키며 사람들이 꾸준히 선호하는 상품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돈에 30만 원대였는데, 어느 순간 살펴보니 60만 원대를 넘어서며 무서운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은 치솟는 금 시세에 대한 이야기와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치솟는 금 값과 2025 금 시세 전망, 투자 방법(금 ETF, KRX 금통장, 은행 골드뱅크 등)
치솟는 금 값과 2025 금 시세 전망, 투자 방법(금 ETF, KRX 금통장, 은행 골드뱅크 등)


 
 
 

2025 금 시세 변화

역사적으로 금은 인류와 함께 지속적으로 수요가 있는 안전자산 중 하나이다.

비트코인 등 안전자산을 표방하며 투자처로 등장했지만 금, 은과 같은 고전적 안전자산의 믿음은 흔들리지 않고 꾸준한 수요를 갖고 있다.


수요와 물가 상승 등과 함께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해왔지만 최근의 금 값이 오르는 속도는 정말 무서운 상태이다.

특히 최근 2025년의 금 값 상승은 가팔라져서 매우 높은 상태이다.

 

금 시세 알아보기금 시세 알아보기
금 시세 알아보기


2월 19일 기준으로 순금 시세는 살 때 : 602,000원 / 팔 때 : 535,000원이며,

18k 팔 때 : 393,300원 / 14k 팔 때 : 305,000원 이다.

현재는 아이 돌반지 하나를 하기 위해서는 한 돈만 한다고 해도 50만 원 이상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금 값이 오르는 배경

꾸준한 수요와 지속적인 상승은 있어왔던 금이지만 왜 최근에 이렇게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것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현재는 세계경제의 불안에 따라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현상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대한 불안함, 미국의 금리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우려 등 경제적 안정이 불안정한 상태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캐나다, 멕시코 등 주요 교육국에 대해 관세부과를 발표하고 부과 대상국의 확장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철강 등 교육 품목에 대해서도 확장시키고 있다.

최근 자동차 관세까지 25% 이상 발언을 꺼내며 무역국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또한 달러 환율 상승도 우리나라에서 물가 상승 및 금 값 상승을 유도하고 있으며, 최근 금에 대한 급격한 수요는 금 값 상승에 불을 지피고 있다.
 

계속 오르고 있는 금 값
계속 오르고 있는 금 값

 

 
 
 

2025 금 시세 전망

2025년 금 시세는 전반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은 상태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미국의 금리 정책,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증가,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꼽고 있는데,

 

골드만삭스: 온스당 $3,100 이상 예상

JP모건 및 뱅크오브아메리카: $2,950~$3,000 예상

세계은행: 비교적 보수적으로 $2,100 수준 예상을 하고 있다.

현재(2025년 2월) 금값은 온스당 약 $2,835이며, 작년 대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금 값 상승 요인으로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금리가 낮아질 경우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이며, 이는 금 수요 증가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확대: 각국 중앙은행이 외환보유고 다변화를 위해 금을 적극 매입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미국-중국 무역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긴장 등이 지속되면서 안전자산인 금 수요 증가

인플레이션 및 경제 불확실성: 경기 침체 우려와 함께 금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음

 

2025 금 시세 전망
2025 금 시세 전망

 

 
 
 
 

금 투자 방법

금 값 상승이 예상되어 금에 투자하고 싶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금 ETF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주식투자와 같이 매우 편하게 거래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금 ETF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다.

금 ETF 종류가 많지는 않지만 대표적으로 많이 거래되는 상품이 KODEX 골드선물,  TIGER 골드선물, ACE 골드선물 등이 있다.

 

KODEX는 삼성증권, TIGER은 미래에셋증권, ACE는 한국투자증권의 상품이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금 etf 상품금 etf 상품
금 etf 상품

 

 

2. KRX 금통장

두 번째로는 KRX 한국거래소를 통해 금 투자를 할 수 있다.

주식처럼 1g 단위로 사고팔 수 있으며, 증권사를 통해 거래를 할 수 있지만 별도 계좌가 필요하다.

 

거래 수수료가 0.2% 정도로 금통장에 비해 적으며, 매도 시 양도소득세, 관세, 부가가치세 등이 없어 투자자에게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는 거래방식이다.

 

하지만 실물 금으로 인출한다면 부가세 10%가 부가되는 점은 참고하기 바란다.

 

KRX 금통장을 통한 금 투자
KRX 금통장을 통한 금 투자

 

3. 은행 골드뱅킹

각 은행별로 골드뱅킹 통장을 통해 금 거래를 할 수 있다.

은행의 골드뱅킹은 0.01g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고 매월 자동으로 정해진 양만큼 거래를 할 수 있다.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편리한 계좌 관리 방법을 통해 일반인들이 손쉽게 금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통장거래의 경우 1% 수수료가 발생하며,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가 15.4% 발생하며 높은 부대비용 때문에 꺼려하는 투자자분들도 있다.

 

만약 금을 실물로 인출한다면 추가적으로 10% 부가가치세가 추가돼서 포함된다.

 

 

투자주의 설명
투자주의 설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