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정보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정보 알아보기 (k캐시백 도시가스, 현금 캐시백)

by 투자자 티케 2024. 12. 16.
반응형

겨울이 다가오면 항상 늘어나는 지출인 난방비가 고민인 가정이 많다.

 

이번 겨울은 지난 겨울보다 덜 춥다고는 하지만 난방을 틀 수밖에 없는 겨울인 만큼 난방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은 난방비 절약을 위한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특히 가스비 줄이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 캐시백이 되는 만큼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정보 알아보기 (k캐시백 도시가스, 현금 캐시백)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정보 알아보기 (k캐시백 도시가스, 현금 캐시백)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 절감 기간 등)

도시가스 캐시백 정책은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겨울철 도시가스 사용량 절감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이다.

전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이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 안내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 안내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주택난방용으로 도시가스 고지서를 받아 납부한다면 개별난방이든 중앙난방이든 모두 가능하다.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

 

사용량을 비교하는 절감 기간은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이다. (2025년 1월 ~ 4월 고지서 발행분)

비교기간은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 기간(2024년 1월 ~ 4월 고지서 발행분)에 비해 절감하면 된다.

 

도시가스 캐시백 절감 기간
도시가스 캐시백 절감 기간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 기준

도시가스 캐시백의 지급기준은 전년 동기간(1월 ~4월) 대비 3% 이상 사용량 절감 시 절감률 별로 차등지급된다.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 단가가 높아진다.

 

캐시백 지급단가는 절감량에 따라 제곱미터(㎡) 당 최소 50원 ~ 최대 200원까지 지급된다.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지므로 절감 목표가 있다면 최대한 많은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 기준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 기준

 

예를 들어 전년도 사용량이 400이고 올해 사용량이 340으로 절감량이 60에 해당한다고 가정하자.

절감량은 60/400으로 15%에 해당하며, 절감기준인 10% 이상 20% 미만 기준에 맞추어 지급단가는 100원으로 총 6000원의 캐시백을 현금으로 받게 된다.

 

도시가스 캐시백 계산 예시
도시가스 캐시백 계산 예시

 

 

 

 

도시가스 캐시백 일정

도시가스 캐시백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기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 일정을 살펴보자.

 

신청기간 : 2024년 12월 1일 ~ 2025년 3월 31일

절감기간 : 2024년 12월 1일 ~ 2024년 3월 31일

절감량 산정기간 : 2025년 5월 ~ 6월

장려금 지급시기 : 2025년 7월 ~ 8월 

 

도시가스 캐시백 일정
도시가스 캐시백 일정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을 위해서는 k가스 캐시백 사이트를 통해 가입하여 신청할 수 있다.

가입할 때 도시가스 고지서에 적혀있는 고객식별번호가 필요하므로 도시가스 고지서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아래 링크를 통해 회원가입 하여 도시가스 캐시백을 신청하기 바란다.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하기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하기

 

 

투자주의 설명
투자주의 설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