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이야기34 소비자선택이론의 응용 소비자선택이론은 우리가 경제학에서 선택의 상황에서 행동하는 요소와 심리들을 보여준다. 이를 이용하여 개인의 노동공급시간 결정원리, 각종 사회보장제도의 효과 및 소득세, 물품세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노동공급에 관한 의사결정 소비자의 예산제약은 소비자의 소득에서 결정된다. 대부분 소비자의 소득은 근로소득에서 시작된다. 노동의 대가로 소득을 얻게되는 소비자. 소득이 많으면 좋고 소비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하지만 우리의 삶은 돈을 벌기위해서만 사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소득을 많이 벌기위해 노동을 증가시킬수록 우리의 여가시같은 줄어들고 그에 따라 삶의 질은 낮아질 것이다. 임금의 변화와 노동공급 임금이 증가하는 경우 여가의 가격이 비싸진다. 이로인해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나타난다. 첫 번째 대체효과로는 여가.. 2023. 8. 31. 소비함수이론2 : 생애소득가설, 항상소득가설, Random Walk 가설 지난 포스팅을 통해 우리는 소비지출의 원리를 알아보고있다. 각 학자들이 내세운 소비함수 이론들을 통해 소비심리를 이해하고 분석해보고있다. 개인의 소비가 절대소득에 의해 결정된다는 절대소득이론. 소비 심리를 실증분석한 결과를 도출해놓은 쿠즈네츠의 실증분석. 소비는 자신의 절대소득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과거소득, 주변사람들의 소비 모두가 연관있다는 상대소득이론. 모두 근시안적인 경제주체를 관찰해보았는데, 이번엔 미래전망적 경제주체들을 대상으로 한 소득가설을 알아보자. 생애소득이론과 항상소득이론, Random Walk이론 등이 바로 이것이다. Modigliani, Brumberg, Ando 생애소득이론 생애소득가설은 이름자체와 마찬가지로 현재소득에 대한 것보다는 일생전체를 놓고보는 미래소득흐름에 대한 소비를 의.. 2023. 8. 28. 소비함수이론1 : 절대소득가설, 쿠즈네츠 실증분석, 상대소득가설 국가경제 내 개별 경제주체들은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다양한 소비활동을 한다. 미시경제학에서는 이를 분석하고 각 선택들이 어떠한 이유를 통해서 하는지 분석한다. 거시경제에서도 소비자의 소비는 국민경제에서 정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경제의 성장과 바탕이 되는 것은 소비와 투자이기 때문이다. 내수경제의 중요성을 뉴스나 기사에서 강조하는 이유는 국가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내수경제의 소비와 투자 등은 반드시 무너지지않고 바탕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오늘은 이런 소비지출에 대해 각 경제학자들이 어떠한 관점으로 분석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 가장 먼저 살펴볼 학설은 경제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학자인 케인즈이다. 케인즈는 절대소득가설을 내세웠으며, 이는 개인의 소비가 절대소득에 의해 결정된다는.. 2023. 8. 28. 재정과 재정정책, 그리고 각 학파의 모형에서 효과 앞의 포스팅에서는 고전학파와 케인즈의 모형을 통해 소득 결정모형으로 국민소득이 형성되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다. 하지만 앞의 모형들에서는 복잡한 상관관계의 어려운 분석으로 인해 정부 부문을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하지만 현실에서 정부라는 경제주체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엄청나다. 따라서 정부의 경제정책을 무시하고 알아볼 수 없는데 이번 포스팅을 통해 정부 재정정책과 그에대한 효과로 케인즈와 고전학파 모형에 대입해보고자 한다. 재정의 개념과 범위 거시경제학에서 재정이란 정부의 수입과 세출이 관련된 모든 경제활동을 의미한다. 정부가 하는 돈이 들어가는 행위이다라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정부의 활동목적은 우리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통해 개인적 만족을 얻고자 하는 소비자나 이윤을 추구하고자 하는 기업과는 다르.. 2023. 8. 25.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