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이야기

국제무역이론 : 원인, 이익, 동태적 무역이론

by 투자자 티케 2023. 9. 21.
반응형

국제무역이론 : 원인, 이익, 동태적 무역이론
국제무역이론 : 원인, 이익, 동태적 무역이론

 

자국 중심의 경제가 아닌 세계의 경제화가 진행되며 한 나라의 경제는 곧 세계의 경제와 유동적인 연계가 되었다.

특히 분업과 거래의 방식을 통한 개개인의 거래가 국가 간에도 이득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선조 들은 특화된 자국의 생산품을 교환을 통해 국가간 거래를 하였으며 이를 국제무역이라고 한다.

 

 

 

국제무역의 원인

국가 간 상품의 무역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상품의 상대가격이 국가 간에 다르기 때문이다. 상품의 상대가격이 다른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생산에 필요한 제품원가가 다를 수도 있고 상품을 생산하는데 드는 노동 관련 인건비가 다를 수 있다. 또는 상품에 대한 수요패턴이 다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일단은 각 나라마다 갖고 있는 생산요소의 부존도가 다르다. 헥셔-올린은 두 나라 간에 생산요소의 부존도가 서로 다르면 기술수준이 같더라도 무역이 성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국 간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각 국가간 기술수준이 다르면 무역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이유로는 국내수요를 충족하고도 남을 만큼의 생산에 대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면 다른 국가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수출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생산조건이 모두 동일하다고 해도 재화 간 소비자 기호가 상이한 경우 자발적 교환을 통해 상호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다.

 

 

 

국제무역의 이익

오랜 역사 속에서 국가 간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경제학자들은 국제무역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중상주의는 16세기에서 18세기 중엽까지의 경제사조로서 대표적 학자로는 먼(T. Mun), 페티(W. Petty), 깡띠옹(R. Cantilon) 등이 있다. 이때의 거래는 금, 은 등 귀금속이 부의 상징이었으며 무역에 의해 창출되었다. 하지만 이 때의 무역은 국가 간 제로섬 게임으로 보고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을 억제하여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했다.

 

고전학파의 무역이론에서는 상품의 가치는 상품생산에 투입된 노동량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며 이를 노동가치설이라고 한다.

고전학파의 무역이론 중 하나로 스미스의 절대우위론이 있다. 타국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경우 절대우위가 있다고 보고 다른 나라보다 생산비가 저렴한 상품 생산을 통해 서로 교환하면 양 국이 모두 이익을 얻는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고전학파의 무역이론으로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이 있다. 비교우위론은 절대우위랑은 달리 생산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우를 의미한다. 무역을 하는 국가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만 생산하여 교환하면 모두 이익을 얻는다고 보았다.

 

신고전파 무역모형으로 헥셔-올린모형이 있다.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에서는 각 국가의 생산비 차이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였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헥셔-올린은 요소의 부존량과 요소집약도에 생산비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노동 풍부국은 노동집약재, 자본풍부국은 자본집약재에 비교우위가 있다고 한다.

 

반면 1947년 미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무역구조를 분석하였던 레오티에프는 자본이 풍부한 미국이 자본집약적인 상품을 수입하고 노동집약적인 상품을 수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된다. 헥셔-올린 정리와 달리 이를 레온티에프의 역설이라고 한다.

 

 

 

동태적 무역이론

현실경제에서는 각국의 비교우위 산업은 부단히 변화하고 이를 연구한 것이 동태적 무역이론이라고 한다.

 

동태적 무역이론의 하나로 제품수명주기이론이 있다.

제품에는 개발-성숙-표준화 단계가 있으며 이런 제품의 단계적 발전은 국제적 분업을 발생시켜 무역이 성립된다고 한다.

또 다른 동태적 무역이론으로 대표적 수요이론이 있다. 대표수요란 그 나라 경제의 구조나 특성을 대표하는 수요이며 대표수요 품목이 중복되는 영역에서 산업 내 무역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제품수명주기이론에서는 제품의 국내 수요비중이 큰 제품생산에서 비교우위를 가지며 국내 수요 중 내수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경우 수출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