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24

시장균형분석의 응용1 : 수요 및 공급곡선,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최고가격제도 (가격상한제), 최저가격제도 (가격하한제) 이 앞번 포스팅을 통해 우리는 수요와 공급이 만나 시장에서 균형을 형성한다는 것을 배웠다. 이를 응용하여 수요 및 공급 곡선을 해석하고 이를 통한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확인, 가격규제정책을 통한 사회의 잉여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해석 수요곡선은 한계편익곡선으로 편익이란 소비로부터 만족도를 화폐액으로 환산한 개념이다. 공급곡선은 한계비용곡선으로 상품을 추가적으로 만들어낼 때 한 단위당 비용이 한계비용이므로 생산자는 한계삐용만큼의 가격을 받고자 한다.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소비자잉여 (Consumer Surplus) : 소비자가 최대로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에서 실제 지불액을 차감하고 난 나머지 분을 의미한다. 소비자잉여가 발생하기 때문.. 2023. 8. 22.
거시경제의 역사적 흐름 2 : 케인즈 알아보기 우리는 지난 포스팅을 통해 거시경제학의 역사를 지켜왔던 두계열의 학파 이야기를 해왔다. 두 학파는 경제이론의 뼈대를 이루고 학문적 다툼을 진행하며 거시경제학을 발전시켜왔다. 특히 고전학파의 시장이론으로 인해 시장의 중요성을 발전시키고 가격에 따라 시장 자율적 조절기능을 예찬해왔지만 시장 실패를 계기로 케인즈의 이론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오늘은 양대 이론 중 하나인 케인즈 이론과 모형에 대해 알아보자. 케인즈 (Keynes)의 모형 케인즈 모형 기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점을 요약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첫째는 가격 경직성으로 인해, 수요되는 만큼만 공급되며 이것이 국민소득의 크기를 결정한다. (유효수요의 원리) 둘째는 노동시장에서 임금 경직성으로 인해 비자발적실업이 발생할 수 있다. 1. 기본가정 케인즈 모.. 2023. 8. 21.
거시경제의 역사적 흐름1 : 고전학파 현실 경제를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모형에 대한 설정이 요구된다. 거시경제학의 역사를 지켜보면 수용하는 경제 철학 및 가정에 따라 크게 두가지 계열로 나누어진다. 경제학에 조금만 관심이 있었다면 들어봤을 것이다. 그 두 학파가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이다.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유명한 애덤스미스. 시장의 실패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주장한 케인즈. 경제학에서 두 학파의 이론은 뼈대를 이루고 오차가 생긴 모형의 이론을 수정하며 두 학파 간 학문적 다툼으로 진행되었다. 거시경제의 역사와 모형들을 이해하기 위해선 이 두학파의 이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고전학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고전학파의 모형 1. 고전학파의 기본가정 ○ 경제주체들은 경제현상을 정확히 인식하며 .. 2023. 8. 19.
거시경제지표들 :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실업률, 이자율, 임금, 환율, 국제수지 지난 포스팅에서 거시경제학을 위한 경제지표 중 국민총생산(GNP)와 국내총생산(GDP)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우리 경제 상황 측정과 예측을 위해 중요한 다른 지표들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 실업률, 이자율, 임금, 환율, 국제수지 등이 바로 그것이다. 물가지수 (Price Index) 물가지수는 기준시점에 비해서 비교시점이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이다. 최근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에 관한 뉴스가 도배를 했었고 그로인한 금리 인상 등으로 우리 삶이 팍팍해졌기 때문에 조금만 뉴스나 신문에 관심이 있다면 어렵지 않게 이해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가지수에도 종류가 있으며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GDP디플레이터로 구분된다. 생산자물가지수 (PP.. 2023. 8. 18.
반응형